반응형

Raspberry pi (라즈베리파이) git 설치

 

라즈베리파이 패키지 최신 업데이트

sudo apt-get update 

sudo apt-get upgrade

 

git 설치 명령어 (이미 설치 되어있음)

sudo apt-get install git-core

 

git 버전 확인

sudo git --version

 

깃 시작

 

먼저 깃 관리하기 위해 기본 디렉토리 생성

 

git 디렉토리 생성

생성 위치는 기본 위치인 /home/pi 경로에서 생성

명령어

mkdir /home/pi/git 

 

git 프로젝트 관리할 디렉토리 생성

(지금은 임시로 만들 디렉토리 인 temp 로 생성)

명령어

mkdir /home/pi/git/temp

 

/home/pi/git/temp 생성

 

새로 생성한 temp 디렉토리 이동

cd /home/pi/git/temp

 

새로 생성한 temp 디렉토리 이동 후

sudo git init 명령어 입력

사용자 정보 입력 해야 사용 가능

sudo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tempName"

sudo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temp@email.com"

sudo 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vim

최초 코멘트 입력

sudo git commit -m "new git Repositorie"

마스터 브런치 생성

sudo git branch -M Master

 

깃 연동 확인

Git Bash

기본 ssh 포트 이용시

git clone pi@127.0.0.1:/home/pi/git/hello/hello.git

ssh 포트 포워딩 이용시(외부 접근)

git clone ssh://pi@127.0.0.1:11/home/pi/git/hello/hello.git

 

127.0.0.1 ip 는 임시 라즈베리파이 ip 입력

: 으로 포트 미입력 시 기본 22 포트 

 

외부망으로 접근 시 

라즈베리파이 방화벽 22 번 포트 개방

ip 및 포트 숨김(고정 ip 할당 및 포트포워딩)

 

c\사용자\사용자계정 해당경로

hello 파일 확인 

+ Recent posts